• 페이스북
  • 네이버블로그
  • 네이버포스트
주요뉴스
국민총소득 지난 60년간 3만배···1인당 GNI 400배 증가
국민총소득 지난 60년간 3만배···1인당 GNI 400배 증가
  • 주선영 기자
  • 승인 2014.12.15 18: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 60년간 우리나라의 국민총소득(GNI)이 3만배, 1인당 GNI는 400배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 우리나라의 국민총소득 규모가 60년 만에 3만배로 증가하고, 1인당 GNI는 400배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으며, 국민총소득에서 가계의 비중은 1975년 79%에서 작년에는 61%로 감소한 반면 기업의 비중은 9%에서 26%로 증가했다.
한국은행이 15일 발표한 ‘국민계정(1953∼1999년) 개편 결과’에 따르면 한국의 명목 GNI는 지난 1953년 483억원에서 작년 1천441조원으로, 60년새 2만9천833배로 늘어났다. 같은 기간에 1인당 GNI는 67달러에서 394배로 늘어난 2만6천205달러가 됐다. 연평균 10.5%씩 증가한 것이다.

한은의 이번 국민계정 개편에 따라 처음으로 같은 기준(2008 SNA)을 이용해 1953년부터 2013년까지의 한국 경제 흐름을 짚어볼 수 있게 됐다. 1953년은 우리나라에서 경제 관련 통계가 처음 나온 해다.

GNI 기준으로 한국 경제를 구성하는 요소를 보면, 가계소득 비중은 꾸준히 떨어진 반면, 기업소득 비중은 IMF 외환위기를 기점으로 급속히 높아진 것을 알 수 있다.

지난 1975년 가계부문은 GNI의 79.2%를 차지했으나 지난해 61.2%로 감소한 것이다. 그러나 같은 기간에 기업들이 산출한 총부가가치로 따진 기업부문 비중은 9.3%에서 25.7%로 증가했으며, 정부부문 비중은 9.3%에서 13.1%로 소폭 확대됐다. 그리고 현재 수출은 한국 경제의 버팀목이지만 60년 전만 해도 GNI 대비 3%(총액 기준)에도 못 미쳤다.

수출은 1953년에 GN 대비 2.9%였고 1966년에 처음으로 10%대를 넘어섰다. 수출 비중이 10%를 돌파한 지 8년 만인 1973년(25.6%) 20%대를, 7년 만인 1980년(32.1%)에는 30%대를 넘어섰다. 이후 1998년 42.0%, 2008년 52.2% 등 위기가 찾아올 때마다 수출 비중은 크게 높아졌다. 2012년 58.3%로 정점을 찍은 이 비중은 작년엔 55.9%였다. 산업구조에서는 1953년 총부가가치 기준으로 GDP의 48.2%를 차지하던 농림어업 비중이 지난해 2.3%까지 줄었다.

총 저축률은 1953년 10.9%에서 꾸준히 늘어 1988년 41.7%로 정점을 찍었다. 이후 낮아지기 시작해 지난해 34.4%를 기록했다.

총 투자율 또한 1991년(41.4%) 정점 이후 기업들의 설비투자 증가세 둔화 등으로 하락하는 추세다. 지난해 총투자율은 28.8%였다.

가계저축률은 1988년 24.4%를 정점으로 빠르게 하락해 작년 수치(4.5%)가 60년 전(4.6%)과 비슷해졌다. 국민소득에서 노동소득(임금)이 차지하는 비중을 나타내는 노동소득분배율은 1953년 27.3%에서 1996년 62.4%까지 높아졌다. 이후 등락을 거듭하다 최근 4년 연속 상승, 지난해 61.4%가 됐다. 이는 근로자들의 임금이 높아졌다기보다는 가계와 기업의 영업이익이 낮아져 나타나는 현상으로 분석된다.

정병택 한은 경제통계국장은 “우리나라 통계는 1970년에서 단절돼 있었기 때문에 과거에 이용하지 못했던 통계가 많았다”며 “이번 통계 작성으로 인해 기존에 하지 못했던 분석이 가능케 됐다”고 말했다. 이어 “이 같은 분석이 지금 당장은 빛이 나지 않는 업무이지만 항만과 같이 향후 공공부문 분석 등에 유용하게 쓰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