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네이버블로그
  • 네이버포스트
주요뉴스
전세가율 69.4%, 현 정부 최저 수준…“집값 급등에 따른 착시”
전세가율 69.4%, 현 정부 최저 수준…“집값 급등에 따른 착시”
  • 양희중 기자
  • 승인 2021.08.06 12: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용산 46.7%·강남 48.9%·송파 50.2%·서초 54.7% 등
전문가들 “하반기 전세시장 더 불안정해질수도”

전국 아파트 전세가율이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최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전문가들은 계속된 부동산 시장 상승세의 영향으로 착시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진단했다.

6일 한국부동산원의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에 따르면 지난 6월 전국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 지수(전세가율)는 69.4%였다. 지난해 12월 70.9 %이후 6개월 연속 하락세이자 현 정부 출범 이후 유지해온 70%선이 무너진 것이다.

전세가율은 지난 2012년 1월 부동산원의 전신인 한국감정원에서 처음 집계를 시작한 이후 2017년 5월까지 꾸준히 상승했다. 2012년 1월 수치는 62.8%, 2017년 5월은 74.7%였다.

특히 서울은 58.2%로 전국 17개 광역 시·도 중 전세가율이 가장 낮았다. 세종이 60.4%, 경기도가 65.6%, 제주도가 65.9%로 뒤를 이었다.

서울 내 25개 자치구 중에는 용산구가 46.7%로 전세가율이 가장 낮았다. 48.9%인 강남구와 송파구(50.2%), 서초구(54.7%), 마포구(55.9%), 영등포구(56.8%) 등이 뒤를 이었다. 전세가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관악구(68.4%), 중랑구(67%), 성북구(66.8%) , 중구(65%), 강북구(64.7%) 순이다.

업계에서는 전세가율을 향후 주택매매가격에 대한 시장의 기대심리를 반영하는 지표로 본다. 통상 비율이 낮을수록 주택가격 상승에 대한 기대 심리가 크다는 의미다. 일각에서는 이를 근거로 전세가율 하락이 시장 안정화를 의미한다는풀이를 내놓기도 한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최근 전세가율 하락은 급격한 매매가격의 상승과 맥이 닿아있다고 분석했다. 지난 1년새 주택 가격이 급등 양상을 보이면서 전세가격이 이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실제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지난 2020년 7월 8억8183만4000원에서 지2021년 6월 9억2812만6000원으로 1년 만에 4629만2000원(5.24%) 상승했다.

2년마다 계약이라는 전세 계약의 특수성과 지난해부터 실시된 새 임대차법(계약갱신청구권)의 영향으로 전세 보증금 상승이 제한됐다는 설명이다.

문제는 전세시장이다. 김 소장은 통상 전세보증금은 매매가격을 기준으로 설정해온 만큼 지금부터 본격적인 ‘키맞추기’가 나타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는 “주택 시장에서 수급이나 공급이 원활하지 않은 게 핵심 원인”이라고 말했다.

이어 “최근 실시한 3기 신도시 사전청약 경쟁률만 보더라도 여전히 전세시장에 실수요자가 넘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며 “하반기 전세시장이 더 불안정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