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네이버블로그
  • 네이버포스트
주요뉴스
한은, 경기 불확실성에 기준금리 0.5% 유지…9차례 연속동결
한은, 경기 불확실성에 기준금리 0.5% 유지…9차례 연속동결
  • 김윤희 기자
  • 승인 2021.07.15 13:5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변이바이러스 확산에 국내 경제 먹구름
완화적 통화정책 유지 필요 판단

가계부채 급증에 대한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기준금리가 인상될 것이라는 시장의 예상을 깨고 기존의 수준을 유지했다.

15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는 서울 중구 한은 본부에서 정례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현재의 연 0.5%로 동결했다.

코로나19 변이바이러스의 확산세로 실물경제의 불확실성이 높은 만큼 당분간 완화적 통화정책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결정이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15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에서 회의를 주재하며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사진제공: 한국은행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15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에서 회의를 주재하며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사진제공: 한국은행

앞서 금통위는 지난해 3월 코로나19의 전세계 대유행이 시작되자 금리를 연 1.25%에서 0.75%0.50%p 인하했다. 이후 그해 50.50%0.25%p 추가 인하한 뒤 7, 8, 10, 11월과 올해 1, 2, 4, 5월에 이어 이번까지 총 9차례 동결 기조를 유지했다.

불과 2주 전만 해도 금융시장에서는 ‘7월 금리인상 소수의견 2-8월 금리인상-11월 금리인상또는 ‘7월 금리인상 소수의견 1-8월 금리인상 소수의견 2-10월 금리인상-내년 1월 금리인상분위기가 지배적이었다.

실제로 이주열 한은 총재는 지난달 24일 물가안정목표 설명회를 통해 기준금리 인상시점을 연내라 밝히며 지금 상황에서 기준금리를 한두 차례 인상한다 해도 통화정책은 여전히 완화적이라며 금리 인상이 한 번에 그치지 않을 가능성까지 시사한 바 있다.

여기에 이주열 총재는 이달 2일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과 가진 조찬회동에서 재정·통화정책은 경제상황과 역할에 따라 상호 보완적으로 운용되는 게 바람직하다는 결론을 내리는 등 경제 정책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기도 했다.

이에 따라 시장에서 8월 금리인상론은 더욱 힘을 받았다.

하지만 코로나19 4차 유행이 본격화되면서 회복세를 보이던 국내 경제는 또 다시 급제동이 걸렸다.

국책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지난 7일 발표한 경제동향 7월호에서 변이 코로나바이러스가 확산되고 감염병 확진자 수도 급증함에 따라 경기 불확실성은 여전히 높은 상황이라며, “향후 경기 회복이 지연될 가능성도 존재한다고 밝혔다.

, 이에 앞서 정부는 지난달 발표한 ‘2021년 경제정책방향에서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국내총생산(GDP) 대비 4.2% 달성을 기대하기도 했다. 지난해 12월 전망(3.2%)보다 1%p 상향한 것으로, 하반기 코로나19 집단면역 달성과 소비심리 회복 등에 힘입어 경제 회복을 앞당길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본 것이다.

그러나 한은은 현재 악화된 코로나19 상황을 고려해 경기가 안정적으로 회복될 때까지 통화정책 기조를 바꿀 때가 아니라고 판단했다.

이날 금통위는 통화정책방향문을 통해 국내경제가 회복세를 지속하고 물가가 당분간 높은 오름세를 이어가겠지만 코로나19 확산으로 불확실성이 잠재해 있으므로 통화정책의 완화기조를 유지해 나갈 것이라며, “이 과정에서 코로나19의 전개 상황 및 성장·물가 흐름의 변화, 금융불균형 누적 위험 등을 면밀히 점검하면서 완화 정도의 조정 여부를 판단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15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에서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제공: 한국은행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15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에서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제공: 한국은행

반면, 금융 불균형이 심각한 상황인 만큼 더 이상 금리인상을 지체할 수 없다는 관측도 나온다. 저금리가 지속되면서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아 대출)’, ‘빚투(과도하게 빚내서 투자’' 열풍으로 가계빚이 위험수위에 도달했기 때문이다.

은행 가계대출은 올해 2월 사상 처음으로 1,000조원을 돌파한 이후 꾸준히 증가세를 보여왔다.

한국은행이 전날 발표한 ‘20216월중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1~6) 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지난해 말보다 416,000억원 증가했다.

, 올 상반기 가계대출 증가폭은 2004년 관련 통계가 작성된 이래 상반기 기준으로 사상 최대치를 나타냈다.

금통위 역시 이날 통화정책방향문에서 가계대출은 큰 폭의 증가세를 이어가 상반기 기준 최대 증가폭을 보였으며, 주택가격은 수도권과 지방 모두에서 높은 오름세를 지속했다고 밝혔다.

지난달 한은이 발표한 금융 안정 보고서에 따르면, 20211분기 한국의 금융취약성지수(FVI)58.92008년 글로벌 금융 위기(73.6) 이후 13년 만에 가장 높았다.

FVI는 대출 증감률·자산 가격 상승률·금융 회사의 건전성 등을 종합해 금융의 중·장기적인 상황을 평가하는 지수로, 외환위기 당시인 199711월을 100으로 놓고 산출한다. 이 지수가 올라간다는 것은 미래에 위기가 발생했을 때 금융과 경제가 받는 충격이 확산할 위험이 커진다는 뜻이다.

한은은 보고서에서 금융불균형이 누증된 상황에서 대내외 충격이 발생하면 과도하게 오른 주택 가격이 큰 폭으로 하락할 위험도 있다고 경고했다.

이주열 총재는 지난달 24일 물가안정목표 설명회에서 최근에 자산시장으로의 자금 쏠림이 증가하고 있다, “가계부채 문제도 있고 금융불균형이 누적되고 있다. 금융불균형에 유의해 통화정책을 운용할 필요성이 날로 커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금통위 역시 금융불균형 누적 위험에 유의해 대응하겠다는 입장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