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청, '6천억원' 규모 미래창조펀드 출범

2013-08-20     박상민 기자

중소기업청(청장 한정화)은 정부 2,000억원과 대규모계열집단소속 대기업, 벤처 1세대, 선도벤처기업, 연기금 등 민간의 출자를 받아 6,000억원 규모의 미래창조펀드 조성을 완료하고, 운용사 선정 등 2~3주 동안의 행정절차 과정을 거쳐, 9월 중순경부터 투자가 이루어진다고 20일 밝혔다.

우선, 펀드 출자자 모집 초기에는 대기업 및 민간 출자자의 관심이 그리 높지 않은 실정이었으나, 시간이 흐르면서 미래창조펀드 조성과 벤처·창업기업 육성 취지에 공감하는 대기업, 벤처 1세대 등이 늘어나기 시작하면서, 펀드조성을 시작한지 불과 2.5개월여만에 6,000억원을 조성 하였다.

300~500억원의 평균적인 벤처펀드 조성에도 6개월 정도 소요되는 점을 고려하면, 민간 출자자의 상당한 관심이 반영된 결과라고 평가할 수 있다.

조성된 6,000억원은 크게 벤처 1세대 등이 중심 역할을 하는 창업초기 분야에 2,000억원, 대기업 등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성장·후기단계에 4,000억원이 투자된다.

좀 더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총재원 중 2,000억원은 민간 영역에서 투자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창업 3년이내 기업에 투자”되며, 특히, 네오위즈·다우기술·NHN·CyberAgent(일본계) 등 선도 벤처기업들이 1,000억원 이상의 ‘새싹기업 키우기 펀드’를 조성하고, 창업·성장의 노하우를 전수하는, 말 그대로 창업초기는 벤처 1세대와 선도 벤처기업들이 주도하는 체계이다.

창업초기 투자는 모험적 투자재원 역할을 하는 점을 고려, 민간 출자자에게 펀드수익의 3%를 우선배분 하는 등 인센티브를 부여한다는 방침이다.

총재원 중 4,000억원은 성장·후기단계에 투자되며, 글로벌 중견·대기업으로의 성장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기업들에게 이 분야 주요 출자자인 대기업(두산, 코오롱 등) 등이 적극 나서서 해소·지원한다는 전략이다.

투자분야는 미래창조펀드의 성격에 맞게 IT, 모바일, 헬스케어, 의료기기, M&A를 통한 업종간 융복합 등 첨단 분야를 중심으로 투자하되, 선도벤처 등 민간 출자자가 희망하는 투자 분야는 우선적으로 고려하여 민간이 주도하는 벤처펀드로 운영해 나간다는 전략이다.

특히, 대기업이 벤처기업 등을 M&A할 경우 계열사 편입을 3년간 유예하고, 법인세를 감면해 주는 정책(현재 법개정중)을 추진 중에 있어, 미래창조펀드에 출자한 대기업들이 우수 창업·벤처기업을 M&A할 가능성도 열려 있다.

그 동안 우리나라 총 벤처투자 재원의 70% 이상을 담당해 왔던 중기청 및 한국벤처투자(모태펀드 관리기관)는 금번 미래창조펀드의 출범이 기존 벤처캐피탈 시장에 적잖은 변화를 일으킬 것이라고 예상하면서, 미래창조펀드가 갖는 의미를 설명하였다.

그동안 벤처펀드 출자에 매우 소극적이었던 대기업들이 벤처자금 생태계에 중요한 일원으로 참여하기 시작했다는 점은 큰 의미를 가진다. ( 미래창조펀드 출범을 알리는 현재에도 유수의 대기업들이 계열사 출자협의 등에 시간이 걸리니, 시간을 더 달라고 요청 하는 등 미래창조펀드 참여를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어, 향후 펀드 규모가 더욱 확대될 가능성도 열려있는 상황이다)

미래창조펀드가 가지는 또 하나의 중요한 의미는 벤처·창업기업을 창조경제 주역으로 육성하기 위하여 대기업, 선도벤처 등이 적극적인 역할을 하겠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실제, 벤처 1세대 및 선도 벤처기업들도 미래창조펀드에 직접 자금을 출자하고 있고 대기업 출자자 대부분은 모바일 등 성장 가능성이 높은 분야의 창업·성장기업을 적극 발굴하고,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하기 위해 노하우 전수 등을 적극 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향후 대기업 등 민간이 주도하는 벤처펀드 시장 형성이 더욱 탄력을 받게 될 것으로 예상하며, ‘13년도 2조원의 벤처펀드가 조성되는 등 벤처투자가 활발히 이루어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특히, 대기업 협력사에 대한 “융자”지원 실적만을 동반성장지수 산정시 반영하던 것을 “창업·벤처기업 펀드에 대한 출자”실적도 새롭게 반영할 예정이어, 향후 대기업의 벤처투자는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