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네이버블로그
  • 네이버포스트
주요뉴스
금감원, 무늬만 2차전지·AI株…투자자 기망 129개사 조사 착수
금감원, 무늬만 2차전지·AI株…투자자 기망 129개사 조사 착수
  • 이민준 기자
  • 승인 2023.11.19 11:5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불공정거래 연루 기획조사…회계심사 후 필요시 감리 전환

금융감독원이 사업 추진의사나 능력이 없음에도 신사업 추진을 발표하고 주가가 급등한 틈을 타 주식을 대량 매도하는 등 투자자를 기망하고 부당이득을 챙긴 상장사들에 대해 엄정 대응한다.

19일 금감원은 인기 테마 사업 추진 발표에도 사업 내역이 전혀 없는 129개 상장사를 대상으로 불공정거래 연루 여부와 회계 적정성 점검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점검 대상은 2023 사업연도 반기보고서에서 2차전지 등 7개 테마 업종을 신규 사업 목적으로 추가한 상장사 233곳 중 현재까지 관련 사업 추진 현황이 전혀 없는 것으로 나타난 129개사다.

금감원이 선정한 7개 테마 업종은 ▲메타버스 ▲가상화폐·대체불가토큰(NFT) ▲2차전지 ▲인공지능 ▲로봇 ▲신재생에너지 ▲코로나 등이다.

점검 결과 129개 미추진 상장사 중 신사업 추진 발표 전·후 과정에서 유상증자나 CB 발행을 통해 외부 자금을 조달한 기업은 74%(95곳)에 달했다.

자금 조달 규모는 평균 496억원(평균 4회)으로 상장사 전체 평균 254억원(평균 0.9회)을 크게 상회하는 수준이다. 금감원은 이들이 실제 사업을 추진하지 않으면서도 신사업 추진 명목으로 자금 조달 후 타 용도로 사용하거나 사적 유용할 우려가 있다고 봤다.

금감원은 향후 신사업 발표 회사의 주가 급등 시기 매매 동향을 면밀히 점검하고 이상 매매 발견시 신속히 조사에 착수한다는 방침이다.

또 신규 사업 미추진 기업 중 14곳에 대해서는 회계처리 적정성을 집중 점검할 예정이다.

129개 미추진 기업 중 다년간 영업손실이나 자본잠식, 최대주주 변경 등으로 재무·경영 안정성이 낮은 기업들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횡령·감사의견 거절 등의 사유로 관리종목 지정·상장폐지 사유가 발생하는 등 투자 고위험 종목도 다수다.

금감원은 이러한 기업들이 관리종목 지정 해지, 상장폐지 모면 등을 위해 부적절한 회계처리의 유혹에 빠질 가능성이 있다고 봤다. 이에 회계감리국은 이들 기업의 자산의 손상 인식 여부를 확인하고 조달한 자금과 관련한 회계처리 적정성을 위주로 심사를 수행, 필요시 감시 전환할 예정이다.

나아가 회계분식 위험 요소를 고려해 4곳을 심사 대상으로 추가 선정했으며 미착수 건에 대해선 우선순위를 높여 신속히 심사에 착수할 예정이다.

금감원은 "사업 추진 의사나 능력이 없음에도 신규 사업에 진출하는 것처럼 투자자를 기망하고 부당이득을 챙기는 행위 등은 자본시장의 신뢰도를 심각하게 훼손시키는 중대 위법 행위"라며 "관련 부서가 적극 공조해 엄정 대응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