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네이버블로그
  • 네이버포스트
주요뉴스
상품수지 10년 3개월 만에 적자 전환…내달 경상 적자 가능성 높아
상품수지 10년 3개월 만에 적자 전환…내달 경상 적자 가능성 높아
  • 정상혁 기자
  • 승인 2022.09.08 12:4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7월 경상수지 10억9000만 달러 흑자…3개월 연속 흑자
흑자폭 66억2000만 달러 축소…역대 두번째 감소폭

7월 경상수지가 3개월 연속 흑자를 기록했지만, 흑자폭은 급감하면서 역대 두 번째로 큰 폭의 감소세를 보였다. 

경상수지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상품수지도 10년 3개월 만에 적자로 돌아섰다. 중국 경기 부진으로 인해 대중국 수출이 줄어든데다 원자재 가격 상승에 수출 보다 수입 증가 속도가 더 빠르게 늘어난 영향이다.

한은은 무역적자가 역대 최대치를 기록한 8월의 경우, 경상수지도 적자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이에 따라 한은 전망치인 연간 370억 달러 경상 흑자 달성에 빨간불이 켜졌다.

8일 한국은행은 전일 발표한 '2022년 7월 국제수지(잠정)'를 통해 7월 우리나라의 경상수지는 10억9000만 달러 흑자를 기록했으며 전년동월대비 흑자폭은 66억2000만 달러가 축소됐다고 밝혔다. 이는 2011년 5월(-79억 달러) 이후 11년 2개월 만에 최대 감소폭이다.

경상수지는 4월에는 외국인 배당 지급, 국제유가 상승에 따른 무역 적자 등의 영향으로 2020년 4월(-40억2000만 달러) 이후 2년 만에 적자를 보였다가 5월부터 흑자 기조를 이어오고 있다.

올 1~7월 누적 경상수지 흑자 규모는 258억7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반면 지난해 같은 기간(494억6000만 달러) 대비 흑자 규모가 258억7000만 달러나 줄었다.

경상수지 흑자폭은 올해 2월과 3월에도 각각 16억4000만 달러, 4억4000만 달러 축소됐고, 5월 65억5000만 달러, 6월 32억2000만 달러 축소된 바 있다.

경상수지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7월 상품수지는 전년동월대비 67억3000만 달러 감소하면서 11억8000만 달러 적자로 전환됐다. 상품수지가 적자를 보인 것은 2012년 4월(-3억3000만 달러) 이후 10년 3개월 만이다.

상품수지가 적자를 보인 것은 대부분이 국제유가 등 에너지 가격 급등에 따른 수입단가 상승에 따른 것이다. 여기에 우리나라 최대 수출국인 중국 경기둔화에 따른 수출물량 축소도 일부 작용했다.

7월 수출은 전년동월대비 37억9000만 달러(6.9%) 늘어난 590억5000만 달러를 기록해 21개월 연속 증가했다. 반면 증가폭은 전달(9.1%)에 비해 축소됐다. 두 자릿수 증가세를 이어왔던 수출 증가폭은 지난 6월부터 한 자릿 수로 둔화 흐름을 보이고 있다. 석유제품 등을 중심으로 증가했으나 대중국 수출 부진의 영향이다. 품목별로는 석유제품이 82.6% 뛴 가운데, 승용차(26.3%), 화공품(6.6%), 반도체(2.5%) 등이 증가세를 보였다.

같은 기간 수입은 원자재 수입이 급증하고 자본재 등도 확대되면서 105억2000만 달러(21.2%) 늘어난 602억3000만 달러로 집계돼 19개월 연속 늘었다. 석탄(110.0%), 원유(99.3%), 가스(58.9%), 화공품(24.4%) 등 원자재 수입이 35.5% 증가한 가운데, 자본재는 7.6%, 소비재는 8.5% 늘었다.

경상수지 흑자폭이 줄어든 것은 국제유가 상승으로 수입 증가 속도가 수출 증가 속도보다 빨랐기 때문이다. 7월 통관기준 수출은 전년동월대비 9.2% 증가한 605억7000만 달러를 기록했고, 수입은 21.8% 증가한 653억7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에너지류를 제외하면 수입은 전년동월대비 6.6% 증가해 수출 증가율보다 낮았다.

한은은 무역적자가 사상 최대치를 기록한 8월에는 상품수지는 물론, 경상수지도 적자로 전환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상품수지와 경상수지가 동시에 적자가 현실화 될 경우 2012년 4월 이후 10년 만에 처음이다. 당시 경상수지가 1억4000만 달러 적자를 보였고, 상품수지도 3억3000만 달러 적자를 나타냈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8월 무역수지는 94억7000만 달러 적자를 나타내 1956년 무역통계 작성 이후 사상 최대 적자를 기록했다.

임금·배당·이자 등의 유출입을 나타내는 본원소득수지는 22억7000만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1년 전(28억4000만 달러)과 비교해서는 흑자폭이 5억8000만 달러 축소됐다. 배당소득수지는 16억9000만 달러 흑자를 나타내 1년 전(21억1000만 달러) 보다 흑자폭이 4억3000만 달러 축소됐다. 이전소득수지는 3억4000만 달러 적자로 1년 전(-4억 달러) 보다 적자폭이 600만 달러 축소됐다.

운송수지 호조 등으로 7월 서비스수지는 전년동월 대비 6억2000만 달러 증가한 3억4000만 달러로 집계돼 3개월 만에 다시 흑자 전환했다.

운송수지는 18억4000만 달러로 전년동월대비 흑자폭이 3억6000만 달러 확대됐다. 운송수지는 수출화물운임이 높은 수준을 유지하면서 2020년 7월(-6000만 달러) 이후 24개월 연속 흑자를 보이고 있다. 

대표적 해운 운임지수인 7월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는 전년동월대비 0.6% 증가했고, 중국컨테이너운임지수(CCFI) 16.5% 늘었다. 여행수지 적자 규모는 8억6000만 달러로 전년동월대비 적자폭이 3억6000만 달러 확대됐다. 연구개발서비스, 전문·경영컨설팅서비스 등 기타사업서비스는 13억8000만 달러 적자로 전년동월 보다 적자폭이 2억2000만 달러 확대됐다.

자본 유출입을 보여주는 금융계정 순자산은 1억8000만 달러 증가했다.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긴축속도 조절 기대 등으로 투자심리가 개선되면서 외국인의 국내 증권투자는 42억2000만 달러 늘면서 1개월 만에 다시 증가 전환했다.

이 중 주식투자는 1억6000만 달러 감소해 6개월 연속 감소했고, 채권투자는 장기채권 중심으로 증가세를 지속하면서 43억8000만 달러 늘어 지난해 1월 이후 19개월 연속 증가했다.

내국인의 해외 증권투자는 32억4000만 달러 늘면서 2020년 4월 이후 28개월 연속 증가했다. 이 중 주식은 일반정부를 중심으로 늘면서 23억4000만 달러 증가해 2019년 9월 이후 35개월 연속 늘었다. 채권은 9억1000만 달러 증가해 두 달 연속 늘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