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네이버블로그
  • 네이버포스트
주요뉴스
서울 전역 골고루 터지는 신고가 행진…아파트값 폭증에 해답 있나?
서울 전역 골고루 터지는 신고가 행진…아파트값 폭증에 해답 있나?
  • 양희중 기자
  • 승인 2021.01.05 10:2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2월 서울 매매 거래량도 폭증 양상
내년 주택가격 전망 ‘상승’ 압도적

서울 아파트 값이 강남과 강북을 가리지 않고 심상치 않는 급등 양상을 보이고 있다. 그동안 미진한 효과를 거둔 정부의 부동산 정책이 서울 전역에서 경신하고 있는 신고가 행진에 어떤 해법을 내놓을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5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공개시스템에 따르면 강북구 미아동의 ‘꿈의숲롯데캐슬’ 84㎡(전용면적)는 지난달 5일 10억2000만원(7층)에 거래되면서 신고가를 경신했다.

1년 전인 재작년 12월 8억2800만원(7층)에 거래됐던 것과 비교하면 1년 만에 2억원 가까이 뛴 것이다.

강북구 미아동의 ‘두산위브트레지움’ 84㎡도 지난달 23일 9억2200만원(10층)에 거래돼 처음으로 9억원을 넘어섰다.

신축 뿐 아니라 30년 넘은 구축 아파트도 신고가 행진이다. 1988년 입주한 도봉구 창동 주공19단지 84㎡은 지난달 7일 9억500만원(9층)에 거래돼 이 평형 최고가 기록을 갈아치웠다.

1997년 입주한 도봉구 창동의 '동아청솔'도 지난달 2일 84㎡이 9억5000만원(14층)에 거래돼 신고가를 경신했다. 이 단지 같은 평형 매매가격은 1년 만에 2억원 넘게 올랐다.

강남권 고가 아파트 가격도 들썩이고 있다. 강남구 압구정동 한양8차 204㎡는 지난달 17일 54억원(15층)에 거래됐고, 서초구 반포동 아크로리버파크 154㎡가 지난달 8일 54억원(25층)에 신고가 계약서를 썼다. 

강북권은 중저가 단지 위주로 매수세가 몰리고 있고, 강남권은 ‘똘똘한 한 채’ 수요와 정비 사업 기대감이 반영되면서 서울 전역의 가격 상승세가 뚜렷해지고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판단이다. 

매매 거래량도 쏠림 없이 서울 전역에서 급증하는 양상이 나타난다. 자치구별 매매 거래량을 보면 구로구는 지난해 11월 거래량이 전달에 비해 48.2%(234→452건) 늘어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고, 강남구가 47.9%(215→413건)로 두 번째로 높았다. 이어 금천구(41.3%), 강동구(40.3%), 성북구(38.3%), 송파구(37.7%)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난해 12월 들어 서울 매매 거래량이 급증하는 모습이다. 집계가 아직 끝나지 않은 12월 거래량(주택 거래신고 기한 계약 후 30일)이 3790건으로 이미 11월 거래량(6277건)의 절반을 넘어선 상태다.

코로나19사태에 대응하기 위한 초저금리 기조로 유동성이 풍부해진 상황에서 지난해 7월 말 시행된 임대차2법 이후 전세난에 지친 무주택자들이 매매로 돌아서면서 거래량이 급증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다급해진 정부는 또다시 부동산 대책을 예고하고 나섰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 4일 “연초부터 모든 정책역량을 투입해 반드시 그리고 확실하게 부동산 시장 안정화가 이뤄지도록 진력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새로 부임한 변창흠 국토교통부 장관도 저층 주거지 개발, 준공업지역 개발 등의 구상을 통해 공급확대 방침을 밝혔지만 공공주도 방안인데다 실제 공급이 이뤄지기까지 최소 3~4년이 걸린다는 점에서 당장 시장 불안을 달래기 어렵다는 전망도 나온다.

시장 참여자들의 집값 전망도 올해 더 오를 것이란 관측이 우세하다. 

부동산 정보 업체 직방이 앱 이용자 3230명을 대상으로 신년 부동산시장 전망에 대해 물은 결과 전체 응답자(3230명) 중 59%(1904명)가 ‘상승’할 것으로 응답했다. 나머지 29%(937명)는 ‘하락’, 12%는 ‘보합’을 예상했다. 

집값 상승을 예상하는 사람이 두 배 이상 많은 셈이다. 전월세 상승 부담에 따른 매수 전환, 신규 공급물량 부족, 저금리 기조로 인한 부동자금 유입 등이 상승 전망의 이유로 꼽혔다.

다만 정부의 시장 안정화 조치와 부동산 관련 세제 강화에 따른 다주택자 매물 출회, 코로나19로 인한 경기 불안 등이 시장의 변수로 작용할 것이란 예상도 나온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