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네이버블로그
  • 네이버포스트
주요뉴스
‘제로금리 시대’에도 불구 내려가지 않은 저축은행 대출금리 왜?
‘제로금리 시대’에도 불구 내려가지 않은 저축은행 대출금리 왜?
  • 한해성 기자
  • 승인 2020.07.01 16:2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고정금리 주로 취급하는 저축은행
기준금리 내리더라도 민감도 낮고
금리인하요구 케이스도 거의 없어
법정 최고금리 인하는 부작용 우려

‘제로금리 시대’에 접어든 요즘이지만 저축은행 평균 대출금리는 10% 후반대인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타깃 고객층이 중·저신용자인 저축은행권 특성 탓이라는 게 업계 설명이지만 석연치 않은 건 산정기준이 투명하지 않기 때문이다.

1일 금융권에 따르면 시중 저축은행들은 정책서민금융 ‘햇살론’ 등 일부 대출을 제외한 대다수 대출상품에 고정금리를 적용하고 있다. 은행들이 매달 15일 공시되는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에 연동되는 변동금리를 취급하는 것과는 다른 부분이다.

저축은행 관계자는 “과거부터 고정금리를 적용해왔는데, 시중은행을 찾는 고객들과 달리 리스크가 높은 고객층이다 보니 변동금리가 사실상 의미 없는 편”이라며 “금리인하요구권을 행사하는 고객도 거의 없다”고 말했다.

금리인하요구권은 부채 감소, 소득 증가 등을 이유로 상승한 신용도 등을 반영해 기존 대출 금리를 낮출 수 있는 것을 말한다. 변동 요인이 없으면 인하 요구를 할 수 없다. 강제사항이 아니기 때문에 고객이 요구한다고 해서 무조건 금융기관이 이를 받아들여야 하는 것도 아니다.

업계 설명을 종합하면 고금리대출은 보통 만기 3~5년, 중금리대출은 만기 1~3년을 설정한다. 기준금리는 갈수록 뚝뚝 떨어지는데 최장 5년 만기인 대출상품에 고정금리를 적용할 경우 고객이 체감하는 금리는 점차 높아질 수밖에 없는 셈이다.

다른 저축은행 관계자는 “고정금리가 대부분이니까 변동금리도 취급하는 시중은행보다 기준금리에 따른 반응속도, 즉 금리 민감도가 떨어지는 건 사실”이라고 말했다.

이어 “변경된 금리를 반영하는 건 신규 취급이나 만기가 도래한 대출인데, 어떤 금리를 적용할지는 개별사 의지에 달렸다”고 설명했다.

금융당국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가 길어지는 상황에서 저축은행권을 향한 고심이 깊다. 벼랑 끝에 내몰린 중·저신용자들이 찾는 저축은행권에서 지금보다 서민 지원에 적극적이기를 바라서다. 

각사가 자율적으로 정하는 대출금리 산정기준에 대한 모범규준 정비작업을 하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정치권에서는 법정 최고금리를 24%에서 20%로 낮추는 논의가 본격화하고 있다.

저축은행권 관계자는 “법정 최고금리 인하 문제는 조심스럽게 접근해야 하는 게 대출 문턱이 높아지면서 대출을 못 받는 사람이 늘고 불법사금융이 더 활성화될 우려가 있다”며 "지금 정책상품으로 저신용자들을 완벽하게 커버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닐뿐더러 손해를 감수하면서까지 저축은행들이 대출금리를 내릴 수 없다는 걸 당국이 누구보다 잘 안다“고 강조했다.

한편 저축은행들의 1분기 실적은 다른 업권에 비해 좋은 편이었다. SBI저축은행 당기순이익은 68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86.6% 증가했고, OK저축은행도 395억원으로 128.3% 증가했다. 웰컴저축은행도 271억원을 기록, 전년 동기보다 0.7% 늘었다. 

이에 대해 업계에서는 지난해 하반기 영업 등 노력이 반영된 결과물이고, 지금까지 은행권 중심이었던 소상공인 정책 지원 몫을 나눠주면 적극적으로 협조하겠다는 입장이다.

저축은행업계는 지난해 저축은행중앙회를 중심으로 소상공인과 자영업자 대출을 지원하기 위해 600억원 규모의 기금 조성을 추진한 바 있다. 

각사가 십시일반으로 50억원을 출연해 지역신용보증재단(지신보) 보증으로 12배수를 지원하는 방식이다. 올해 본격화하겠다는 구상이었지만, 지신보 업무가 마비될 정도로 코로나19 대출이 몰리자 논의가 중단된 상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