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네이버블로그
  • 네이버포스트
주요뉴스
LG 구광모·한진 조원태·두산 박정원, 젊은 4세대 총수 등장…재벌 세대교체 본격화
LG 구광모·한진 조원태·두산 박정원, 젊은 4세대 총수 등장…재벌 세대교체 본격화
  • 김규철 기자
  • 승인 2019.05.16 09:4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기존 총수 사망하면서 LG·한진·두산 새 총수 시대
재계, 젊은 리더십 부상…공통 1차 숙제는 ‘상속세’
한화 자산 65조6000억, GS 62조9000억 순위 변동
한진, CJ 한계단씩 올라 13, 14위…두산 13위→15위
카카오 24년만에 IT기업 가운데 첫 대기업 집단 지정
왼쪽부터 구광모 LG그룹, 조원태 한진그룹 회장, 박정원 두산그룹 회장.
왼쪽부터 구광모 LG그룹, 조원태 한진그룹 회장, 박정원 두산그룹 회장.

2017년 대기업집단 총수들의 세대교체를 통해 그룹의 지배구조 변화를 모색한 삼성과 롯데에 이어 올해도 3개 대기업집단인 LG, 한진, 두산이 선대 총수들의 별세로 인해 새로운 총수를 맞아들였다.

40~50대의 대기업집단의 젊은 총수들인 이들이 그룹 경영 전면에 나서면서 국내 재벌 3·4세 경영 체제가 본격적으로 자리를 잡아가는 모양새를 보이고 있다고 재계는 평가하고 있다.

15일 공정거래위원회는 기존 동일인 별세로 이를 변경해야 할 중대 명백한 사유가 발생한 LG, 한진, 두산 등 3개 대기업집단의 총수를 변경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LG그룹은 작년 5월 타계한 고(故) 구본무 회장에서 구광모 회장(41)이 두산은 2016년 3월에 타계한 고 박용곤 명예회장의 뒤를 이어 박정원(57) 회장이 새 총수로 지정됐다. 한진은 지난 4월 미국에서 숨을 거둔 조양호 회장에서 조원태 회장(44)으로 각각 총수가 변경됐다. 

다만 현대차는 현재 정몽구 명예회장 체제를 그대로 유지하기로 하면서 이에 대해 공정위는 “정몽구 회장의 건강상태에 대한 의사소견서를 받았다. 내용은 공개할 수 없다. 정몽구 회장의 자필 서명과 건강소견서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현대차의 동일인은 정몽구 회장으로 유지키로 결정했다”고 말했다.

LG그룹은 전통적으로 ‘장자승계’ 원칙을 고수하고 있다. 2004년 고 구본무 회장이 불의의 교통사고로 외아들을 잃자 동생인 구본능 희성그룹 회장의 장남인 구광모 회장을 양자로 들이며 일찌감치 LG그룹의 후계자로 낙점 받았다.

구광모 회장은 ㈜LG 지분 15%를 보유한 최대 주주이며 지난해 6월 지주사인 ㈜LG의 대표이사에 선임되면서 사실상 총수에 올랐다. 

LG그룹측은 이미 예상된 수순이었던 만큼 이번 총수 지정으로 특별히 달라질 건 없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이미 LG그룹측은 구광모 회장을 중심으로 배터리와 전장 등의 사업 분야에서 ‘미래준비’를 착실히 해나가고 있다.

또한 재계 일각에는 구본무 회장의 병세가 악화하면서 그룹 경영을 사실상 총괄했던 동생 구본준 부회장이 LG상사를 중심으로 계열 분리를 시도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LG그룹은 장자승계 원칙에 따라 새 총수가 선임되면 선대회장의 형제들은 독립하는 전통을 보여 왔다. 

구본준 부회장은 구광모 회장에 이어 ㈜LG의 2대주주(지분율 7.72%)이며 재계에서는 구본준 부회장이 ㈜LG의 지분을 매각한 대금으로 LG상사 지분을 사들일 것이라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한진은 우여곡절 끝에 조원태 회장이 새 총수로 지정됐지만 ‘경영권 분쟁’이라는 불안요소가 총수지정 과정에서 불거졌다. 공정위는 매년 5월1일 공시대상 대기업집단과 총수를 발표했지만 한진이 조양호 회장에 이은 차기 동일인을 누구로 할지 쉽게 정하지 못해 자료 제출이 늦어지면서 올해 발표는 보름이나 늦어졌다.

한진은 조양호 회장 별세 보름여 만인 지난달 24일 조원태 대한항공 사장이 그룹 지주사인 한진칼 대표이사 회장에 취임했다고 발표했지만 회사 내부 일각에서는 공동 대표이사로만 선임했을 뿐 회장으로 선임한 사실이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더구나 조원태 회장의 한진칼 지분율은 2.34%로 극히 낮다. 조원태 회장이 안정적인 경영권을 확보하려면 조양호 회장의 한진칼 지분(17.84%)을 상속받아야 하는데 65%에 달하는 엄청난 상속세가 조원태 회장에 발목을 잡고 있다.

반면 박정원 두산그룹 회장은 2016년 3월 회장 취임 3년 만에 정부로부터 총수로 공식 인정받았다. 두산그룹은 2대 박두병 회장에 이어 그의 장남인 고 박용곤 명예회장, 고 박용오(차남), 박용성(셋째), 박용현(넷째), 박용만(다섯째) 등 형제들이 차례로 회장을 맡는 독특한 경영 방식을 이어왔다. 

이 때문에 공정위는 최근까지도 박용곤 명예회장이 두산그룹 총수 일가의 가장 높은 위치에 있는 좌장으로서 실제 그룹을 지배하는 총수로 봐야 한다고 판단했다.

이번에 두산그룹의 총수로 등극한 박정원 회장은 두산그룹의 향후 미래 먹거리 사업을 연료전지와 협동로봇 등으로 보고 그룹 경영에 더욱 박차를 가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금호아시아나와 코오롱은 최근 박삼구 회장과 이웅열 회장이 각각 경영일선에서 물러났지만 총수 지위를 유지했다. 두 회사가 동일인 변경을 신청하지 않았고 지분도 그대로 유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현대자동차그룹도 정몽구 회장이 동일인 지위를 유지했다. 아들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수석부회장(49)이 핵심 계열사인 현대차와 현대모비스 대표이사를 맡는 등 그룹을 이끌고 있지만, 정몽구 회장이 현대차(5.33%)와 현대모비스(6.96%) 개인 최대주주로 있는 등 경영승계 작업은 아직 진행형이다.

효성도 조석래 명예회장에 이어 아들 조현준 회장(51)이 총수로 인정받을지 관심을 모았지만 조석래 명예회장이 총수 지위를 유지했다.

지난해의 경우 공정위는 건강상 총수 역할을 할 수 없다는 판단에 따라 삼성그룹의 총수를 이건희 회장에서 이재용 부회장(51)으로, 롯데그룹은 신격호 명예회장에서 신동빈 회장(64)으로 각각 변경했다.

공정위는 이날 자산총액 5조 원 이상인 59개 기업집단(소속회사:2103개)을 공시대상기업으로 지정했다. 공시대상기업집단 수는 전년(60개)보다 1개 감소했고 소속회사 수는 지난해(2083개)와 견줘 20개 증가했다. 

애경이 자산총액 5조2000억원을 기록하면서 신규지정됐고, 자산총액이 5조원인 다우키움도 새롭게 공시대상기업이 됐다. 앞으로 이들 기업에 소속된 회사들은 공정거래법에 따른 공시 및 신고의무, 총수일가 사익편취 규제가 적용된다. 

메리츠금융(금융전업), 한솔(자산총액:4조8000억원), 한진중공업(자산총액:2조6000억원) 등은 공시대상기업 명단에서 빠졌다.

재계 관계자는 “지난해와 올해에 이어 내년에도 총수 지위에 적지 않은 변화가 예상된다. 40~50대, 3~4세대 경영인이 전면에 나서면서 재계가 한층 젊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