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네이버블로그
  • 네이버포스트
주요뉴스
누구를 위한 공매도 인가?
누구를 위한 공매도 인가?
  • 채규섭 기자
  • 승인 2016.10.10 06:5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채규섭 기자

최근들어 셀트리온헬스케어를 비롯한 여러 종목들에 대해 공매도 논란이 가열 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현행 공시제도로는 주가하락 신호 및 투기매매 방지라는 공매도의 순기능이 발휘되기 어렵다고 보고있다.

▣ 공매도의 순기능

국내 주식시장에서 공매도는 마치 악마의 투자법 처럼 여겨지는 것과는 달리, 대부분의 선진국은 공매도의 여러 순기능을 인정하여 공매도 제도를 유지하고 있다.

공매도는 시장의 조절 도구로써 역할을 하며 가격의 왜곡을 해소하고 변동성을 완화하고, 시장에 유동성을 제공하여 전체 거래량을 증가시켜 보다 합리적인 가격에서 거래를 성사시킬 수 있는 순기능을 가진다

▣ 공매도 규제의 대상인가?

하지만 공매도가 이런 순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며 논란이 된 것은 어제오늘의 일은 아니다. 셀트리온은 2013년 공매도 공세를 견디지 못해 회사 매각을 선언하기도 했으며, 요즘에는 자회사인 셀트리온헬스케어가 그 논란의 중심에 서있다.

실제로 전고점 164000원에 대비해 10월 31일 종가 63700원으로 주가가 약 60%정도 빠진 상태다.

공매도에 대한 논란은 무엇보다 기관과 개인 간의 정보 접근성에서부터 문제가 발생한다. 근본적으로 정보와 자금력에 취약한 일반 투자자들로서는 시장의 공정성과 형평성에 충분히 의심을 제기할 만한 상황인 것이다.

하지만 공매도에 대한 맹목적인 규제는 자본시장 기능을 훼손한다는 점에서 신중히 접근해야 할 부분이다. 중국 정부가 수년전 악의적인 공매도에 대해 규제를 추진했다가 살며시 꼬리를 내리고 만 것도 이런 이유에 있다.

따라서 공매도 자체가 아니라 미공개 정보를 이용해 사익을 취하는 일부 시장 참여자들의 불법적인 행태를 바로잡는 데서 개선책을 찾아야 한다.

최근 시행에 들어간 공매도 공시제가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있는 만큼 공시기준을 엄격하게 적용하는 등 제도적 보완책을 마련하는 것도 시급한 과제로 보여진다. 아울러 주식 대여 기간이나 수수료 등이 기관투자자에게 일방적으로 유리한 관련 규정을 바로잡아 일반투자자의 시장 접근성을 한층 높여주는 방안도 적극 검토해야 한다.

종목별 공매도 물량은 그나마 시장 마감 후 알 수 있지만 공매도 주체는 3일 뒤에서야 늑장 공시된다는 것도 논란거리다.

전체 거래량 가운데 0.5% 이상의 대량 공매도만 공개되는 것과 공매도를 대행하는 증권사 이름만 공개될 뿐 실체 주체가 베일에 싸여 있다는 것도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이런 탓에 내부정보를 입수한 공매도 세력의 불공정거래 의혹은 문제가 터진 뒤에나 당국이 조사에 착수하여 파악할 수 있는 방법 뿐이다.

▣ 공매도에 대응하는 투자전략

최근 국내 증권사에서 공매도를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게 해주는 플렛폼을 개발, 출시하여 일반투자자들도 기관투자자들이 구사하던 롱숏 전략을 자유롭게 펼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었다.

그러나 일반 투자자들은 기관들처럼 엄청난 양의 정보를 취합,분석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정보의 정확성과 신뢰도가 낮을수 밖에 없기 때문에, 그저 시장에 떠도는 찌라시급 정보들을 가지고 공매도에 나서는 것은 매우 위험한 투자이다.

공매도 유입이 많은 종목은 그럴만한 이유가 주가에 반영되어 있을수 있다는것을 의심하고 투자에 신중해질 필요가 있고,  공매도가 적은 종목은 안정적인 종목으로 주가에 긍정적인 신호일 수 있기 때문에 일반 투자자들은 오히려 공매도 유입이 적은 종목을 분석하여 매수하는 게 공매도를 역이용한 투자전략이라 보여진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